성경말씀 (39) 썸네일형 리스트형 내 언약을 지키면 본문: 출애굽기 20:1-17 제목: 내 언약을 지키면 십계명을 주시는 하나님. 하나님께서 처음으로 백성에게 직접 주신 구체적인 법. 갑자기 주신 것이 아니라 19:5에서 예고되었다. 모든 민족 중에 하나님의 소유,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를 맺는 것과 연결되는 조건, 하나님의 사람이 되기 위한 삶의 조건. 출애굽이라는 구원을 얻은 백성들. 십계명은 이를 지켜서 구원을 받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구원을 경험한 자들이 지켜야 할 삶의 모습이다. 따라서 지금을 사는 그리스도인에게도 유효하다. 예수님 또한 십계명이 여전히 유효함을 전제로 한 말씀을 주셨다. 다만, 하나님의 의도를 잘 파악해서 글자 그대로 적용하기보다 오늘날의 시대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한다. 신정국가 상황, 첫 백성에게 요구되는 순도 높은 훈련의.. 홍수가 나고, 폭풍이 이는 세상 본문: 마태복음 7:15-27 제목: 홍수가 나고, 폭풍이 이는 세상 I. 마태복음 7:26과 27의 대조 말씀을 듣고 행하는 자 : 반석 위의 집 말씀을 듣고도 행하지 않는 자 : 모래 위의 집 약한 기초 위에 집을 짓는 일이 얼마나 위태로우며 언제든 무너질 수 있는지는 상식적인 일이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행함은 교회에서 직분을 갖고 종교적 행위를 열심히 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종교적 외형은 갖추었으나 사실상 예수를 따르지 않는 이들이 있고 그들은 여러 모양으로 몰락하며 사탄의 역사에 이용될 수도 있다. 우리 삶이 무너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우리 삶은 비바람과 폭풍이 몰아친다. 우리는 악과 죄가 작동하는 세상 속에서 살아간다. 그러나 예수를 따르는 삶은 운명을 뒤바꾸고 그러한 세상의 영.. 변한 다윗; 변하지 않는 사울 본문: 사무엘상 26장 제목: 변한 다윗; 변하지 않는 사울 I. 반복적인 사건 속에 다윗의 다른 반응 사무엘상 26장은 24장과 거의 동일한 내용으로 반복되고 있다. 다윗은 사울을 피해 광야로 가고, 사울은 추격하지만 무방비 상태에 계속 놓인다. 누군가 다윗에게 사울을 죽일 기회라고 조언하나, 다윗은 하나님의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죽이지 않는다. 대신 다윗의 이러한 결단을 보여줄 증거를 취하고, 사울은 이 일을 두고 다윗을 축복하고 돌아간다. 매우 비슷한 이야기 구조. 그러나 약간의 차이가 있다. 26:8, 9절을 보자. 다윗은 측근에게 사울을 죽이자는 조언을 듣는다. 그런데 다윗은 이 일이 하나님이 금하시는 일이라고 거절하는 그 시간차가 있다. 26장에서 다윗은 즉각적으로 거부하고 그 이유를 덧붙인다.. 그의 걸음을 인도하시는 이는 여호와시니라 본문: 룻기 1장 제목: 그의 걸음을 인도하시는 이는 여호와 시니라 I. 비극과 절망의 순간이 그리스도인의 삶에 들이닥치다. 룻1:1 - 유다 지역의 자연재해, 1차 산업 당시 자연재해는 생존의 문제였다. 이에 상당한 거리를 이주하여 모압에 피난한 엘리멜렉의 가족. 그리고 이 문제가 상당한 시간 지속되었고 경제가 초토화된 상태였다. 거기에 아버지와 아들들이 모두 사망한 상황. - 예상, 계산하지 못한 크나큰 생존의 위협 앞에서 익숙한 곳을 떠나는 결정을 하게 된 한 가정. - 그러나 가장과 아들들의 잇따른 죽음은 삶의 기반이 완전히 무너지는 일이었다. 죽음의 이유는 명시되지 않았으나 자연스러운 일이 아니었다. 미래의 희망이 무너지고, 대가 끊기는 큰 문제가 발생했다. 나오미와 그 며느리들에게 얼마나 큰 .. 십자가 아래 사는 삶-고난에 대하여 본문: 로마서 8:28 제목: 십자가 아래 사는 삶-고난에 대하여 존 스토트 13장을 참고. 우리가 사는 삶에는 고난과 그로 인한 고통, 아픔, 상처가 있다. 4월에는 특히 세월호 사건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고개를 들어보면 극한의 고통이 산재해 있고, 사실 고난은 모든 사람이 경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남 부러울 것 없어 보이는 삶도 한꺼풀 벗겨내면 눈물과 아픔이 있다. 고난 없이 살다가 가는 사람은 없다. 고난은 모두의 몫이다. 고난과 고통이 하나님의 사랑, 정의 개념과 조화로운가? 하는 질문이 있을 수 있다. 사랑과 정의의 하나님이 계시다면 왜 고난과 고통이 있는가? I. 이 질문을 다루기 위해 먼저 고난의 원인을 생각해보자. ☆ 고난은 생각보다 많은 경우 사람의 죄가 원인된다. 사람에 주어진 .. 유월절 양으로 죽은 예수 본문: 누가복음 22:1-13 제목: 유월절 양으로 죽은 예수 고난주간의 시작. 예수의 죽음과 부활은 그 풍부한 의미를 묵상할 필요가 있다. 오늘의 설교는 존 스토트의 「그리스도의 십자가」 제6장을 참고하여 이뤄진다. 1. 유월절의 시계 속에 움직이는 사건 유대 최대 절기에 제사장, 서기관이 움직이고 제자, 사탄이 움직이며, 예수와 제자들이 움직인다. 유월절 식사를 한 그 밤 체포되어 십자가에 달리신다. 유대 문화권의 하루는 해가 지는 저녁에 시작하여 다시 해가 지는 시간까지로 계산한다. 유월절에 죽임 당하신 예수. 유월절 어린양의 이미지와 맞닿는다. 유월절 사건은 출애굽기 11~13장에 소개된다. 애굽의 압제가 굳은 마음으로 강력했는데 하나님이 택하신 최후의 심판. 하나님의 사자가 첫째를 사로잡아 가는.. 너희를 미워하는 자를 선대하라 본문 : 눅6:27~36 제목 : 너희를 미워하는 자를 선대하라. 20~23절은 예수를 따르는 자들에게 오는 불의한 대우가 장기적으로는 복이 있다는 말씀이었다. 그런데 오늘은 예수를 따르는 자들을 불의하게 대우하는 자들을 어떻게 대할지에 대한 본문이다. 1. 사랑하라, 선대하라, 축복하라, 기도하라. 결국 너희를 미워하는 자를 선대하라는 것이다. 보복하지 말라는 것보다 더 나아간 적극적인 도전이다. 악을 경험하면 분노와 적개심이 느껴지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그런데 왜 예수님은 저와 같은 지침을 주시는가. 원수를 대하는 자연스러운 또는 상식적인 반응 - 방어 - 되갚음, 보복 - 심판 그런데 이 중 보복과 심판은 그 속성 자체가 인간의 손에 달리면 결국 악에 자리를 내어주는 문제로 전이, 확대될 위험이 크.. 우리가 바라는 그 이상의 예수 본문 : 누가복음 5:1-26 제목 : 우리가 바라는 그 이상의 예수 1. 하나님 나라에 관한 말씀을 듣는 사람들(v1) 누가복음은 하나님 나라의 복음, 하나님 나라의 일에 대한 내용이 이어진다. 8장에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야기는 씨앗으로 비유되는데 그 내용은 들음을 통해 말씀이(씨앗) 마음에 떨어지고 잘 간직하면 놀라운 열매를 맺는다는 내용이다. 이를 통해 하나님 나라의 복음은 들음으로 시작하고 잘 간직함으로 완성된다는 의미를 얻을 수 있다. -> 이것이 바로 하나님을 경험하는 방법이 된다. 우리 모두 이렇게 자라 가자. 2. 시몬에게 어려운 부탁과 제안을 하시는 예수님 무리가 너무 많아 밀치는 상황이 되어 예수님은 말씀을 전하기에 어려웠다. 그래서 배를 강단으로 삼으시기로 했는데 두 배 중에 시몬.. 눌린 자를 자유케 하고 본문 : 누가복음 4:31-44 제목 : 눌린 자를 자유케 하고 예수님께서 마귀의 유혹을 물리치신 후에 안식일이 되어 회당에 가셔서 이사야 61장을 펴고 읽으시고는 이 말씀이 이루어졌다고 선언하신다. 예수님의 사명의 핵심적 내용이 이사야61:1이하 말씀이다. "눌린 자를 자유케 하고.." 그리고 본문은 이 사명을 선언하신 후에 첫 사역을 하시는 장면이다. 1. 말씀으로 귀신을 쫓으신 예수님 v31. 사명 선언을 하시고 다음주 안식일에 가버나움으로 가신다. v32,36. 예수님의 가르침에는 권세와 능력이 있었다. > 말 전달의 전략이나 탁월성 보다는 그 말 자체에 힘이 있었다. 그것은 마치 법령과 같았고 말이 곧 사역이었다. 예수께서 말하시면 그대로 된다. v33. 32. 예수의 말씀과 관련되어 귀신들도 ..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