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묵상 (5) 썸네일형 리스트형 그의 백성 가운데 거하시는 하나님 본문: 출애굽기 25:1-22 제목: 그의 백성 가운데 거하시는 하나님 I. 언약관계에서 출발하는 하나님과의 동행 출 25~27장은 이스라엘 가운데 거하기로 하신 하나님의 처소, 성막, 공간의 설계와 제작에 대한 말씀이다, 성막은 이스라엘 백성의 진 한가운데 놓인다. 물리적으로 하나님이 그 백성 가운데 거하기로 하신 것을 보여주는 장치인데 하나님이 그 백성 가운데 거하기로 한 사건은 실로 큰 사건이다. 가령 집에 불이 난 급박한 상황에 가족 중 소방관과 소화기가 있다면 얼마나 큰 안도감이 있을까. 갈 바를 알 수 없는 광야 속에 생활하는 이스라엘의 한가운데 천지의 창조주가 함께 하기로 하셨다! 이러한 사건은 결코 흔하거나 가벼운 일이 아니다. 에덴동산에서 사람과 하나님이 함께 하셨다. 죄는 그 관계를 깨.. 내 언약을 지키면 본문: 출애굽기 20:1-17 제목: 내 언약을 지키면 십계명을 주시는 하나님. 하나님께서 처음으로 백성에게 직접 주신 구체적인 법. 갑자기 주신 것이 아니라 19:5에서 예고되었다. 모든 민족 중에 하나님의 소유,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를 맺는 것과 연결되는 조건, 하나님의 사람이 되기 위한 삶의 조건. 출애굽이라는 구원을 얻은 백성들. 십계명은 이를 지켜서 구원을 받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구원을 경험한 자들이 지켜야 할 삶의 모습이다. 따라서 지금을 사는 그리스도인에게도 유효하다. 예수님 또한 십계명이 여전히 유효함을 전제로 한 말씀을 주셨다. 다만, 하나님의 의도를 잘 파악해서 글자 그대로 적용하기보다 오늘날의 시대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한다. 신정국가 상황, 첫 백성에게 요구되는 순도 높은 훈련의.. 시내산에 내려오신 여호와 본문: 출애굽기 19:1-20 제목: 시내산에 내려오신 여호와 시내산에 도착한 이스라엘, 출애굽기 3장에서는 그 지역에서 양치던 모세를 부르시며 이스라엘이 하나님을 예배하는 곳이 될 것이라고 말씀하시고 사명을 주신다. 수많은 어둠을 통과하여 다시 돌아온 모세... 3절부터 바로 그곳에서 이스라엘을 기다리고 계셨던 것처럼 하나님의 놀라운 말씀이 주어진다. 1. 이스라엘과 언약을 맺는 것에 대하여 말씀하시다. 언약이란 특별한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 마치 결혼하는 신랑 신부가 새롭고 특별하며 신비한 관계로 들어가는 것과도 유사하다. 하나님과 관계를 갖게 된다는 것은 결코 가벼운 일이 아니다. 아주 특별한 일이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관계를 맺고 싶다고 이야기하신다. 얼마 전까지 비참한 상태에 놓였.. 삶에 결핍이 있을 때 본문: 출애굽기 16:1-21 제목: 삶에 결핍이 있을 때 출애굽기 16장의 2가지 이슈 1) 굶주린 상황을 이용하여 안식일에 대한 훈련을 하시는 하나님 2) 나아가 백성을 책임지고 공급하시는 주체를 가르치시는 하나님 I. 하나님을 놓친 사람들의 왜곡된 시각과 반응 2, 3절은 굶주린 백성들의 인간적인 반응이 나온다. 원초적인 욕구의 결핍은 굉장히 심각한 문제이다. 생명의 위협을 당장이라도 느끼는 상황이자, 미래에도 해소될 것 같지 않은 비극적 상황... 백성은 모세, 아론을 원망한다. 게다가 "너희가" 우리를 굶어 죽이려 한다는 비난을 한다. 이 말에는 뼈가 있다. 이스라엘 백성이 겪는 고난의 책임자를 모세, 아론으로 지목한다. 자신들의 어려움, 문제에 대해 하나님을 논외로 두었다. 하나님을 놓친 모습.. 주와 같은 자가 누구니이까 본문: 출애굽기 15:1-19 제목: 주와 같은 자가 누구니이까 출 14장 홍해를 넘어가는 사건 이후 모세와 이스라엘이 올리는 찬양의 노래.. 다시 한번 홍해 사건을 돌아보자. - 절망이었다 바로의 정예 기마 군대가 추격해온다. 온 민족이 간신히 길을 걸었고 맞설 방법은 없었다. 도망이라도 가고 싶지만 그 앞을 거대한 바다가 가로막았고 협곡이 좌우도 막혔다. 불안과 절망감이 최고조에 이르렀다. - 그런데 하나님이 개입하여 불가능한 사건이 벌어졌다. 탈출, 생존, 극복... 이에 16장의 서사로 바로 넘어가지 않고 15장의 찬양이 중간에 삽입되었다. I. "나의" 여호와, 이스라엘은 "그의" 백성 1. 하나님과 그 백성이 관계함의 내의 1~7절은 여호와를 설명하면서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있음을 강조한다. 여..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