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기 (5) 썸네일형 리스트형 돌아서지 말고,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섬기라 본문: 사무엘상 12:6-25 제목: 돌아서지 말고, 마음을 다하여 여호와를 섬기라 I. 특별한 관계를 잊은 이스라엘에 대한 사무엘의 책망 사무엘의 마음이 담긴 12장의 호소를 잘 받을 필요가 있다. 이스라엘이 가시적인 것을 추구하며 왕을 요구하는 것은 하나님을 왕에서 폐위하는 결정이었다. 하나님은 사람에게 버림받으셨다. 사무엘은 그 하나님의 아픔에 공감하고 함께 아파했다. 사무엘은 왕정제도의 문제를 설명했으나 이스라엘은 완고했다. 결국 하나님의 뜻 가운데 사울이 왕으로 세워졌다. 이제 시작이다. 그러나 사무엘은 그 장대한 왕정의 시작에 앞서서 백성들을 경고하고 담론 한다. 여기서 담론은 재판의 의미도 담겨있는데 그 시작은 과거 광야로의 구원을 이루신 하나님의 이야기였다. 노예상태에서 구출한 것만으로도 .. 압도되어 낙심될 때 본문: 창세기 30:25-31:16 제목: 압도되어 낙심될 때 I. 갈급하고 간절한 가운데의 야곱을 겉으로는 선대하나, 실상은 자기 손아귀에 넣으려는 라반 라헬이 요셉을 낳다. 레아로부터 많은 아이가 태어난 이후 가진 아들. 이것이 야곱에게 어떠한 결심을 하는 계기가 된 것 같다. 야곱은 외삼촌 라반에게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허락받으려 한다. 이를 라반은 만류하는데 아브라함이 이삭의 신붓감을 얻으려 종을 보냈을 때도 그랬다. 야곱은 충성된 섬김을 근거로 선대해줄 것을 요청한다. 그런데 라반은 똑같은 이유로 하나님의 뜻을 자신에 유리하게 곡해하여 야곱을 만류한다. 같은 상황을 보면서도 전혀 다르게 해석하는 두 사람. 특히 라반의 말에는 매번 가시가 있다. 라반은 "네가 날 사랑한다면 머물라"라고도 이야기하.. 변한 다윗; 변하지 않는 사울 본문: 사무엘상 26장 제목: 변한 다윗; 변하지 않는 사울 I. 반복적인 사건 속에 다윗의 다른 반응 사무엘상 26장은 24장과 거의 동일한 내용으로 반복되고 있다. 다윗은 사울을 피해 광야로 가고, 사울은 추격하지만 무방비 상태에 계속 놓인다. 누군가 다윗에게 사울을 죽일 기회라고 조언하나, 다윗은 하나님의 기름 부음 받은 자를 죽이지 않는다. 대신 다윗의 이러한 결단을 보여줄 증거를 취하고, 사울은 이 일을 두고 다윗을 축복하고 돌아간다. 매우 비슷한 이야기 구조. 그러나 약간의 차이가 있다. 26:8, 9절을 보자. 다윗은 측근에게 사울을 죽이자는 조언을 듣는다. 그런데 다윗은 이 일이 하나님이 금하시는 일이라고 거절하는 그 시간차가 있다. 26장에서 다윗은 즉각적으로 거부하고 그 이유를 덧붙인다.. 아비가일, 총명의 사람 본문: 사무엘상 25:1-42 제목: 아비가일, 총명의 사람 I. 서언 잠언의 원론적 교훈을 묵상할 때 그 원리를 잘 담은 성경의 다른 본문을 함께 묵상하는 것이 좋다. 오늘의 본문도 잠언의 교훈과 연결되는 점이 많다. II. 어려운 상황 가운데 다윗이 살아가는 선한 방식과, 이를 악으로 갚는 나발의 말 정식 고용도 되지 않았는데 다윗은 600여 명의 식솔을 지키기 위해 도적으로부터 나발의 가족과 재산을 지켰다. 어쩌면 오해받을 수 있는 행동이었지만 사울 왕의 핍박을 받던 다윗이 식솔을 지키기 위해 택한 고육지책이었다. 다윗은 추수 시기에 이르러 지난 수고를 기억해달라며 나발에게 지원을 요구했다. 그러자 나발은 모욕적 표현으로 다윗을 무시했다. 다윗의 마음이 무너졌을 것이다. 이러한 모욕과 조롱은 나발이.. 가정의 위기 - 성의 위기 본문: 잠언 5장 제목: 가정의 위기, 성의 위기 가정에 닥치는 위기의 종류는 다양하다. 경제적 위기, 대화의 위기, 자녀나 부모로 인한 위기, 건강의 위기, 심지어 폭행과 충돌의 위기까지... 그중 성적인 문제는 가장 치명적이다. 다른 위기는 해결방법이 있을 수 있고 해결이 안 되어도 가정이 깨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성적 문제가 걸리면 가정이 깨지거나 그에 준하는 심각한 위기를 낳는다. 그 이유는 가정의 중심에 부부의 배타적 성적 연합이 있기 때문이다. 창세기 2장에서는 부부의 탄생, 결혼과 가정의 탄생을 그리면서 하나님께서 그 기반에 부부의 배타적 성적 연합을 디자인해 놓으신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인간이 처음 겪는 공동체인 가정의 가치는 그 개인의 정체성에 있어서 뿌리를 두고 있는 곳이라는 점에서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