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사랑 (4) 썸네일형 리스트형 형편없는 모습의 여호와의 팔 본문: 이사야 52:13-53:12 제목: 형편없는 모습의, 여호와의 팔 이사야서 40장 이후는 내용과 톤의 변화가 크다. 이사야서를 잘 이해하려면 당시 이스라엘이 놓인 처지를 살필 필요가 있다. 바빌론에 의해 멸망당하고 생존자들은 포로로 끌려갔다. 절망적이고 비참한 현실에 놓였고 끔찍한 트라우마까지 남았다. 매일매일의 삶이 고통과 상처 자체인 이스라엘에게 회복과 구원을 이야기한다. 구원자의 이미지가 점점 구체화되는데 중간에는 바빌론도 멸망할 것이라는 점과 이것이 페르시아의 고레스 왕에 의할 것이라는 예언이 담겨있다. 그런데 하나님은 여기서 더 나아가 죄의 문제, 하나님과의 관계 문제를 다루고 그 존재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종국적인 구원자의 이야기를 더하신다. 생각해보면 이스라엘의 멸망은 국력의 문제가 ..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함께 함이라 본문: 이사야 41:1-20 제목: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함께 함이라 I. 하나님이 일으키시고 주재하시는 역사 2~4절에는 그 판결의 내용이 나온다. - 동방에서 한 사람을 일으켜 열국을 다스리게 하다. 43:28은 이것이 페르시아의 고레스임을 알려준다. 당시 바빌론이 대체 불가한 강대국이 득세한 상태였는데 이러한 예언은 허황된 이야기로 들렸다. 그러나 역사는 하나님의 놀라운 계획이 실현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나님은 재판의 모습으로 묻고 답하신다. 누가 이러한 일은 행하였는가? 바로 나, 여호와이다!! 적수가 없는 강대국까지 하나님이 뜻하신다면 무너지고 만다. 도저히 해결되지 않을 것만 같은 문제들 앞에 살아가는 우리는 하나님이 우주의 주인이심을 잊지 말아야 한다. 하나님은 간섭하시고 결국 뜻을.. 흔들리는 가정 ; 흔들리지 않는 가정 본문 : 눅6:37~49 제목 : 흔들리는 가정 ; 흔들리지 않는 가정 37절은 오해되는 본문이다. 잘못을 비판하고 정죄하지 말라는 말씀이 명백한 문제에 직면해도 소극적으로 행동하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안 된다. 예수님과 제자들은 당대 본질적인 도덕과 신앙에 관한 죄에 대하여 날 선 비판을 하였다. 사실 중대하고 결정적인 문제는 비판과 개선이 필요하고 이로써 선을 이루고 죄악을 직면, 척결하기 위하여 요구된다. 따라서 오늘의 본문에서는 아래와 같은 비판과 심판의 원칙을 발견하고 묵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상호성의 원칙 - 네가 사용한 동일한 잣대로 네가 심판 받으리라. 비판은 참 쉽다. 동시에 구별되는 나의 바름을 뽐내게 된다. 그러나 내 입으로 하는 비판은 곧 부끄럽게도 나를 향하는 일이 벌어질 수 .. 압제하던 자가 어찌 그리 폐하였는고 본문 : 이사야 14장 1~21절 제목 : 압제하던 자가 어찌 그리 폐하였는고 세상에 대한 재편과 회복을 말씀하신 11장에 이어서 13~27장은 악의 세력을 멸하시면서 재편과 회복이 시작될 것이라는 열방에 대한 심판의 말씀이 이어진다. 13장은 바벨론의 교만, 심판에 대한 내용이었고 14장은 바벨론 왕의 교만과 그에 대한 심판의 메세지가 주어진다. 하나님이 갖고 계신 이스라엘의 회복 계획은 바벨론의 멸망으로 인해 진행될 것이다. 1. 이스라엘 회복의 시작점 v1. 하나님의 긍휼히 여기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자격 없는 자를 사랑하신 하나님.(compassion) 왜 그렇게 하셨을까? 신명기 7:7~ 사랑하셨기 때문에 사랑하셨다는 인간으로서는 다 이해못할 하나님의 사랑. 묵상해보자. 2. 하나님은 가능하시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