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도의삶

(4)
살아있는 교회의 표지 본문 : 사도행전 2 : 37 - 47 제목 : 살아있는 교회의 표지 v37. '그들이 이 말을 듣고 마음에 찔려..' 에 대한 이 말은 37절 앞의 베드로의 설교 내용이었다. 베드로의 설교 포인트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 또 교회와 함꼐 하시는 성령님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어서 베드로는 죄사함과 성령의 두 선물에 대해 더 설명한다. - 회개(돌이킴) : 예수에 대한 오해된 태도에서 돌이키라는 말이다. 즉 죄와 어둠의 세력과 세속적 문화 방식에서 돌이킴이다. - 세례 : 회개를 외적으로 드러내는 의미이다. 예수의 사역을 인정하는 일이고 그분을 주인으로 삼아서 충성을 고백하는 표현이다. - 성령 : 다시 사는 것이다. 거듭남. 새 생명을 얻는 일에 산파 역할을 하신다. 하나님의 사랑에 걸맞는 삶을 살도록 성..
십자가 이후의 삶 제목: 십자가 이후의 삶 본문: 로마서 6:1~14 부활절 절기는 지나갔으나 그 의미를 깊이 묵상하자. (존 스토트의 「그리스도의 십자가」 11장을 참고) I. 죄의 무거움과 참혹함에 대하여 죄에 대해 사람들은 깊이 생각해보지 않는다. 그러나 조금만 눈을 들어 보면 죄가 얼마나 세상에 만연해 있는 실재인지 알 수 있다. 정인이 사건, 구미 아동학대 사건, 세 모녀 사건, 유명인들의 과거 학폭 사건들까지... 계속하여 사회에 죄의 이슈가 끝없이 드러난다. 그뿐 아니라 내 삶의 문제를 들여다 보라. 직장 속 갑질, 집주인과 세입자의 갈등, 부부간 갈등까지... 죄는 피상적인 것이 아니다. 인간의 실상, 민낯은 사실 누구도 자유롭지 않다. 나 자신도 남을 비난하기는 쉬우나 나 자신의 민낯도 돌아보라. 자유로울..
내가 복음을 위하여 모든 것을 행함은 본문: 고린도전서 9:3-23 제목: 내가 복음을 위하여 모든 것을 행함은 I. 사도의 재정 지원 받을 권리 오늘의 본문에서는 먹고 마실 권리, 배우자를 데리고 다닐 권리(결혼의 권리를 넘어 가정이 지원받을 권리의 의미다), 일하지 않을 권리가 반복해서 이슈로 나타난다. 이는 사도의 재정적 지원 받을 권리를 의미한다. 나아가 상식적으로나, 율법적으로나 이와 같은 권리의 근거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특히 복음 전파자는 복음으로 말미암아 산다는 주님의 명령도 제시한다. II. 바울의 사도로서의 권리 자제 결론은 재정적 지원을 요청하는 것일 수도 있으나, 바울은 정반대의 결론을 내놓는다. 특히 15절. 사도로서의 권리를 쓰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러리라는 것이다. 그 이유는 12절에 복음에 장애가 되지 않..
지식은 교만하게 하며 사랑은 덕을 세우나니 본문: 고린도전서 8장 제목: 지식은 교만하게 하며 사랑은 덕을 세우나니 Intro ; 6절 - 삼위일체 하나님 개념에 기초하여 하나님 한 분께서 창조자 되시다. 피조세계의 본질과 한계와 목적성을 하나님은 잘 알고 계신다. 그리고 우리 존재 목적도 하나님을 위한 것이다. 우리 삶에 의미, 궁극적 지향점이 어디를 향하여야 하는지를 다른 본문이다. A. 우상의 제물을 먹는 문제에 대하여 고린도교인들이 갖고 있던 지식(고전 8장은 고린도교회가 바울에 문의한 내용에 대한 설명이다) 9절이 그 답변이다 - 너희의 자유가 믿음이 약한 자에게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조심하라. 질문한 자에 대한 경계다. 이 답변으로 질문한 사람들의 입장을 추론할 수 있다. 우상의 제물을 먹는 문제로 교회 내에 갈등이 있었고 그 갈등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