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출애굽기 34:1-17
- 제목: 다시 세운 언약, 다시 주어진 기회
I. 깨어진 관계에 회복이 선포되다.
반역으로 인해 언약이 깨진 이스라엘, 하나님과 동행할 수 없게 되었다. 관계가 깨어진 문제는 치명적인 문제이다. 특히 그 대상이 안전, 생명, 복의 근원인 하나님이었다. 존재 자체를 흔드는 사건이었다. 민족의 생존 자체가 위태롭게 되었다. 언약이 깨진 사건은 가볍게 생각할 만한 문제가 아니다.
모세가 돌판을 깨트린 행위는 하나님과의 언약관계가 깨진 것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모습이다. 다시 돌아온 모세... 하나님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언약 돌판이 깨진 것을 본 이스라엘 민족은 어떠한 느낌을 받았을까. 절망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다시 돌판을 만들기 시작한다. 언약관계가 다시 회복하는 일은... 이스라엘에 새 희망을 주었다. 죽은 가지에서 움이 트는 것처럼...
II. 회복을 이루게 한 요소 1. 백성의 뉘우침(결과보다 하나님과 함께 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는가는 모세가 보인 중재와 죄에 대한 심각성을 다루는 모습, 그에 상응하는 백성들의 회개를 통해서 살필 수 있다.
그중에서 하나는, 하나님이 이스라엘과 함께 해주시길 구하는 간구였다. 특히 33:15는 땅의 성취보다 하나님이 함께 하시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하다는 선포가 나온다. 이는 하나님이 아니더라도 자신들의 목표된 땅으로 인도할 신을 만드려 했던 백성들 모습과 대비된다. 오늘날 기독교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목표 성취보다 하나님과 함께 한 과정이 중요하다는 입장은 오늘날에 큰 도전이다.
가령 자녀가 수능을 앞둔 수험생이더라도 대입보다 하나님과 이 과정을 함께 하는 것을 중요시하여 주일 예배를 빠트리지 말라고 하는 그리스도인 부모인지 스스로 돌아보라.
아무리 중요한 지상과제라고 하더라도 하나님과 함께가 아니라면 아무 의미 없다는 사실을 이해하는가... 스스로에게 물으라.
III. 회복을 이루게 한 요소 2. 하나님의 성품
6, 7절은 하나님이 강림하실 때 모세가 그 이름을 선포하는 장면이다. 이는 구약신학의 정수라고도 말할 수 있는데
그는 자비하고, 은혜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 하고 한결같은 사랑과 진실이 풍성하신 분이다.
특히 여기서 자비함은 태에서부터 아기를 품는 어미의 성품과 원어적 연관성이 있다. 백성들의 회개 이전에 근본적으로 하나님은 이처럼 자비하시기에, 그 백성, 그 자녀를 포기하지 않으시기에 회복이 가능했다. 하나님의 세계에서는 완전한 끝, 절망이 없다. 하나님은 그 백성이 진정으로 돌이킨다면 다시 회복시키신다.
IV. 회복 이후에 변화되어야 할 삶에 대한 요구
하나님은 하나님과의 언약이 어떠한 의미인지 다시 환기 시키신다. 충성된 삶에 대한 요구를 하신다. 백성들의 삶은 언약을 약화하거나 깨트릴 수많은 요소들이 산재해 있다.
하나님은 오늘날 하나님과 관계 맺은 백성들에게도 하나님에 대한 충성을 약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 무엇이 있는지 돌아보라. 또한 그러한 요소 앞으로 날 이끄는 매개가 무엇인지도 돌아보고 이를 경계하라.
아울러 내가 하나님께 절대적 충성과 순종을 갖도록, 붙들 신앙의 습관들이 있을지 돌아보라. 공동체 안의 지체들이 이를 나누고 서로 하나님께 나아가고 믿음을 키우는 여정에 정진할 수 있도록 격려하라.
V. 결어
오늘날 우리 삶도 가나안의 삶과 다르지 않다.
성취보다 영원한 의미를 남기는 삶과 선택을 사모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