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
주를 멸시하는 자-개선이 아닌 청산 본문: 사무엘상 2:22-36 제목: 주를 멸시하는 자-개선이 아닌 청산 I. 홉니와 비느하스의 악행 삼상 2:11 이하 내용은 엘리의 두 아들 홉니, 비느하스가 저지른 악행이 소개되고 그에 대한 하나님의 대응이 나온다. 이들의 패턴화 된 잘못들은 이들이 어떠한 이들인지 보여준다. 이들과 대조되는 사무엘의 성장도 곳곳에 보인다. 홉니와 비느하스는 제물의 가장 좋은 부위를 차지하는 모습이 보인다. 소름 돋는 행동이다. 레위기의 제사규정에 따르면 일부 제사는 먼저 하나님께 가장 좋은 것을 골라 태워서 올려드리고 남는 부위를 제사장에 돌려지는데.. 이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다. 여호와께 드리는 제사를 멸시하였다. 게다가 회막 일을 보는 여인들을 범했다. 사람은 하나님이 성적인 존재로 지으시지만 그 영향력이 크므..
끝이라고 생각한 곳에서 본문: 창세기 39장 제목: 끝이라고 생각한 곳에서 I. 새로운 국면을 여는 변수, 하나님이 함께 하는 요셉 요셉이 이집트 보디발에게 팔려간다. 자유와 존엄이 박탈된 요셉은 사람의 삶이 끝난 것 같다. 종이 된 요셉은 생명이 보장되지 않는 불확실한 상태에 놓였다. 그런데 2절에서 새로운 국면이 열린다.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 하셨다. 그래서 형통한 자가 되었다. 가장 절망적인 상황에서 유일한 희망이 될 수 있는 변수가 발생했다. 그는 끝이라고 생각하는 순간에도 하나님과 연결된 끈을 놓지 않았다. 종은 주인의 집 밖에서 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집 안에서 거할 수 있었고 가정 총무가 되었으며 나중에는 주인이 자기 사적 영역 외의 모든 소유를 관리하게 되었다. 이러한 승진의 이유를, 성경은 하나님이 요셉과..
삶이란, 험악한 것 본문: 창세기 38장 제목: 삶이란, 험악한 것 I. 언약 백성의 정체성이 무너지는 과정 요셉이 팔려간 이후 바로 그 이야기가 시작하기 전 형제 유다 이야기가 있다. 전체 스토리는 야곱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유다가 형제, 언약 백성의 정체성을 떠나 가나안 이방 민족에 동화되어 가고 있다. 유다는 이방 여인과 결혼하는데 "보고, 취했다"는 표현을 보더라도 즉흥적인, 성욕에 의한 일이었음을 암시한다. 아브라함과 사라는 아들의 정체성 유지를 위해 굉장히 불편을 감수하면서도 아내를 찾으려 했다. 결혼은 이처럼 중요한 문제이다. 한 사람의 인생에 지대한 영향력을 갖는다. 하나님이 정한 원칙, 전통을 버리고 자기 욕정에 따라 선택하는 인생이 시작되었다. 그 가정 안에서 아이 셋을 낳는데 이후 장자의 아내, 다말을..
타락한 세상의 희망 본문: 창세기 34장 제목: 타락한 세상의 희망 I. 이제 막 정착하려는 야곱에게 닥친 충격적인 사건 야곱과 에서가 화해하고 각자 나뉘어 정착지를 택하여 거주하게 됨. 야곱이 가나안 땅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가나안 거주민에게서 세겜 땅을 구매하여 지속 가능한 삶이 가능한 터를 마련했다. 그러나 그 직후 걷잡을 수 없는 문제들이 벌어진다. 디나가 성범죄를 당하였다. 특히 욕되게 하였다는 표현은 디나의 인격, 인권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힌 사건이었음을 암시하고 그 가족이 입은 충격이 씻을 수 없는 문제였음을 보여준다. 하나님의 창조질서를 무너뜨리는 큰 범죄. 5절에는 야곱의 반응이 나오는데 "잠잠하였다"는 말은 무관심, 무감각을 드러낸다. 그러나 그 아들들은 분노에 차올랐다. 부끄러웠고 슬픔과 분노를 느끼는 ..
그리스도는 왜 죽으셨는가? 본문 : 마가복음 14:32-42 제목 : 그리스도는 왜 죽으셨는가? 부활에 진정 의미가 있으려면 부활에 앞선 예수의 죽음의 의미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 (존 스토트-그리스도의 십자가 참고) 예수는 왜 십자가 위에서 죽었는가? 하나님은 왜 십자가 죽음 없이 용서하면 안되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서 존 스토트는 첫째로는 죄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Ⅰ. 죄에 대한 질문들 •죄의 의미 -내적으로 부패한,뒤틀린 -한계나 기준을 고의적으로 넘는 이 기준은 하나님에 의해서 제정된 기준이다. 다른 말로 하나님의 도덕법이라 할 수 있다. 이 세상에는 하나님의 도덕법이 세워져 있다. 시대를 막론하고 어디에나 누구에게나 존재한다. 이를 고의적으로 넘어서는 일과 인간의 도덕적 부패와 관련된 것이 바로 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