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삶이란, 험악한 것 본문: 창세기 38장 제목: 삶이란, 험악한 것 I. 언약 백성의 정체성이 무너지는 과정 요셉이 팔려간 이후 바로 그 이야기가 시작하기 전 형제 유다 이야기가 있다. 전체 스토리는 야곱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유다가 형제, 언약 백성의 정체성을 떠나 가나안 이방 민족에 동화되어 가고 있다. 유다는 이방 여인과 결혼하는데 "보고, 취했다"는 표현을 보더라도 즉흥적인, 성욕에 의한 일이었음을 암시한다. 아브라함과 사라는 아들의 정체성 유지를 위해 굉장히 불편을 감수하면서도 아내를 찾으려 했다. 결혼은 이처럼 중요한 문제이다. 한 사람의 인생에 지대한 영향력을 갖는다. 하나님이 정한 원칙, 전통을 버리고 자기 욕정에 따라 선택하는 인생이 시작되었다. 그 가정 안에서 아이 셋을 낳는데 이후 장자의 아내, 다말을.. 망하는 삶의 방식 본문: 창세기 37장 제목: 망하는 삶의 방식 삶이 무너진 사람을 볼 기회가 종종 생긴다. 그런데 자연재해 등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의 방식, 태도로 인하는 경우도 있다. 창세기 37장 이하 요셉의 이야기는 야곱의 이야기, 더 나아가 아브라함을 부르신 하나님의 이야기라는 틀 안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I. 세대를 이어 내려오는 뿌리 깊은 죄의 습성을 끊어낼 결단과 실천의 필요성 2절에서는 17세 소년 요셉이 등장한다. 그 요셉의 성격을 묘사하는 모습을 보면 처, 첩을 여럿 둔 야곱 가족구조에서 아들들 사이의 갈등이 심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형들의 허물을 말하는 것은 부정적인 속뜻이 있는데 경솔하고 버릇없고 또는 거짓 참소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3절은 아버지 야곱의 편애까지 있었음.. 성막을 건설하는 특이한 방식 본문 : 출애굽기 35:1-29 제목 : 성막을 건설하는 특이한 방식 🎈개관 오늘 본문을 보기에 앞서 24장을 보아야한다. 언약을 체결한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모습. 특별한 관계 속으로 들어갔다. 그 두 당사자가 정기적으로 만날 수 있는 공간인 성막을 짓기로 했는데, 이스라엘이 금송아지를 만들고 바로 언약이 깨져버렸다. 그리고 모세의 중재가 이어지고 하나님의 용서로 인해 34장에 다시 언약이 수립된다. 그리고 35장 부터 31장에서 멈추었던 성막 건설 과정이 재개된다. 앞에 언급이 되었기에 좀 더 간략하게 언급된다. 🎈성막에 대해서. 성막은 무엇보다도 하나님을 만나는 공간인데, 회막이라고도 불린다.(모일 회) 그러나 하나님의 거룩성과 인간의 죄, 부패가 함께 같이 거할 수 없었기에 제사장을 통한 속죄제사가.. 이제 다시 노래할 수 있어요 본문: 이사야 54장 제목: 이제 다시 노래할 수 있어요 40~48장은 생존한 바빌론 포로들에게 주어진 새 삶, 죄로 인해 깨어진 관계의 회복과 구원에 대한 선포가 이뤄진다. 2명의 구원자가 나온다. 49~52장은 그 회복을 하나님께서 이루신다는 것을 말씀하신다. 53, 54장은 더 구체적으로 하나님이 하실 일들을 그린다. 53장은 여호와의 종이 희생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54장은 이로써 이뤄지는 효과를 이야기한다. I. 버림받은 아내, 이스라엘 1~10절은 이스라엘을 버림받은 아내로 묘사, 비유한다. 강력한 이미지인데 대개 버린 자가 일방적인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선이해 될 수 있지만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는 이스라엘의 죄로 인해 심판받은 것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신앙은 결혼 관계로 비유되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