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창세기 26:1-33
- 제목: 기근 중에 말씀하시며 일하시는 하나님
1 아브라함 때에 첫 흉년이 들었더니 그 땅에 또 흉년이 들매 이삭이 그랄로 가서 블레셋 왕 아비멜렉에게 이르렀더니
2 여호와께서 이삭에게 나타나 이르시되 애굽으로 내려가지 말고 내가 네게 지시하는 땅에 거주하라
3 이 땅에 거류하면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게 복을 주고 내가 이 모든 땅을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라 내가 네 아버지 아브라함에게 맹세한 것을 이루어
4 네 자손을 하늘의 별과 같이 번성하게 하며 이 모든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니 네 자손으로 말미암아 천하 만민이 복을 받으리라
5 이는 아브라함이 내 말을 순종하고 내 명령과 내 계명과 내 율례와 내 법도를 지켰음이라 하시니라
6 이삭이 그랄에 거주하였더니
7 그 곳 사람들이 그의 아내에 대하여 물으매 그가 말하기를 그는 내 누이라 하였으니 리브가는 보기에 아리따우므로 그 곳 백성이 리브가로 말미암아 자기를 죽일까 하여 그는 내 아내라 하기를 두려워함이었더라
8 이삭이 거기 오래 거주하였더니 이삭이 그 아내 리브가를 껴안은 것을 블레셋 왕 아비멜렉이 창으로 내다본지라
9 이에 아비멜렉이 이삭을 불러 이르되 그가 분명히 네 아내거늘 어찌 네 누이라 하였느냐 이삭이 그에게 대답하되 내 생각에 그로 말미암아 내가 죽게 될까 두려워하였음이로라
10 아비멜렉이 이르되 네가 어찌 우리에게 이렇게 행하였느냐 백성 중 하나가 네 아내와 동침할 뻔하였도다 네가 죄를 우리에게 입혔으리라
11 아비멜렉이 이에 모든 백성에게 명하여 이르되 이 사람이나 그의 아내를 범하는 자는 죽이리라 하였더라
12 이삭이 그 땅에서 농사하여 그 해에 백 배나 얻었고 여호와께서 복을 주시므로
13 그 사람이 창대하고 왕성하여 마침내 거부가 되어
14 양과 소가 떼를 이루고 종이 심히 많으므로 블레셋 사람이 그를 시기하여
15 그 아버지 아브라함 때에 그 아버지의 종들이 판 모든 우물을 막고 흙으로 메웠더라
16 아비멜렉이 이삭에게 이르되 네가 우리보다 크게 강성한즉 우리를 떠나라
17 이삭이 그 곳을 떠나 그랄 골짜기에 장막을 치고 거기 거류하며
18 그 아버지 아브라함 때에 팠던 우물들을 다시 팠으니 이는 아브라함이 죽은 후에 블레셋 사람이 그 우물들을 메웠음이라 이삭이 그 우물들의 이름을 그의 아버지가 부르던 이름으로 불렀더라
19 이삭의 종들이 골짜기를 파서 샘 근원을 얻었더니
20 그랄 목자들이 이삭의 목자와 다투어 이르되 이 물은 우리의 것이라 하매 이삭이 그 다툼으로 말미암아 그 우물 이름을 에섹이라 하였으며
21 또 다른 우물을 팠더니 그들이 또 다투므로 그 이름을 싯나라 하였으며
22 이삭이 거기서 옮겨 다른 우물을 팠더니 그들이 다투지 아니하였으므로 그 이름을 르호봇이라 하여 이르되 이제는 여호와께서 우리를 위하여 넓게 하셨으니 이 땅에서 우리가 번성하리로다 하였더라
23 이삭이 거기서부터 브엘세바로 올라갔더니
24 그 밤에 여호와께서 그에게 나타나 이르시되 나는 네 아버지 아브라함의 하나님이니 두려워하지 말라 내 종 아브라함을 위하여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게 복을 주어 네 자손이 번성하게 하리라 하신지라
25 이삭이 그 곳에 제단을 쌓고,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며 거기 장막을 쳤더니 이삭의 종들이 거기서도 우물을 팠더라
26 아비멜렉이 그 친구 아훗삿과 군대 장관 비골과 더불어 그랄에서부터 이삭에게로 온지라
27 이삭이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가 나를 미워하여 나에게 너희를 떠나게 하였거늘 어찌하여 내게 왔느냐
28 그들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너와 함께 계심을 우리가 분명히 보았으므로 우리의 사이 곧 우리와 너 사이에 맹세하여 너와 계약을 맺으리라 말하였노라
29 너는 우리를 해하지 말라 이는 우리가 너를 범하지 아니하고 선한 일만 네게 행하여 네가 평안히 가게 하였음이니라 이제 너는 여호와께 복을 받은 자니라
30 이삭이 그들을 위하여 잔치를 베풀매 그들이 먹고 마시고
31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서로 맹세한 후에 이삭이 그들을 보내매 그들이 평안히 갔더라
32 그 날에 이삭의 종들이 자기들이 판 우물에 대하여 이삭에게 와서 알리어 이르되 우리가 물을 얻었나이다 하매
33 그가 그 이름을 세바라 한지라 그러므로 그 성읍 이름이 오늘까지 브엘세바더라
I. 이삭이 겪은 대위기
- 1절 : 아브라함 때 기근, 이삭 때 또다시 흉년, 그랄로 가다.
- 2절 : 이집트로 향하려 했는데 이를 막으시는 하나님. 기근이 이집트까지 가야 할 정도로 그 규모가 굉장히 컸다고 이해할 수 있다.
삶의 기반을 위협하는 불가항력적인 위협이 찾아왔다. 게다가 광범위하게 공동체 생존 자체에 위협을 줬다.
☞ 이 상황에 하나님의 말씀이 임하다. 이집트로 가지말고 약속한 땅에 머물라. 민족을 이루고 천하만민에 복을 줄 계획이 있다. 그리고 하나님이 함께 하실 것이다. 이삭은 대위기 앞에 잊고 있던 소명을 다시 기억했을 것이다. 아브라함 때부터 주셨던 하나님의 계획.
하마터면 소명을 놓칠 뻔 했다. 소명을 기억했다고 해서 바로 순종하기는 사실 눈 앞의 대위기를 직면하고 어려웠을 것이다. 손해와 희생을 감수하고 목숨을 걸어야 했다. 하나님이 주신 소명은 불편한 고생길이었다. 겉보기에는 편리하고 풍요로워 보이는 길을 버리는 도전이었다.
★ 이삭은 그랄땅에 계속 머물기로 하나님께 순종하였고, 하나님의 계획이 진행될 수 있었다. 그 결과는 천하만민의 복,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으로까지 이어졌고 바로 지금 우리 삶에까지 복음이 전해지게 했다.
★ 지금 우리에게, 우리 시대에도 주어지는 하나님의 소명이 있다. 그 길은 거칠고 불편하고 희생이 따르는 길 일 수 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그 길을 선택한 자 에게 장래가 기약되고 영원한 의미를 남기는 일이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하나님의 소명이 무엇인지 여쭤보고 발견했다면 순종하라. 겉 보기에 편하고 풍요한 길이 아닌 하나님의 생명과 복을 전하는 길을 택하라.
★ 이삭의 선택은 어려운 길을 예상하게 했지만 확실히 사는 길 이었다. v3 "이 땅에 거류하면 내가 너와 함께 있어 네게 복을 주고 내가 이 모든 땅을 너와 네 자손에게 주리라... " 하나님이 함께 하신다. 그 결과 이삭이 그랄 땅에 남아 거류할 때 100배의 결실을 얻었다. -> 마가복음의 주님의 길을 따르는 자에게 주어지는 가치와 통하는 말씀이다.
II. 순종한 끝에 주어진 하나님의 생명과 돌봄
하나님은 순종한 이삭에게 많은 열매를 주셨다. 불편하고 희생이 따르는 길로만 생각했는데 그 가운데도 도우시는 하나님을 경험한다.
그런데 그 결과 이웃들이 시기하고 질투하고 나아가 해코지하는 일까지 객지에서 겪게 되었다. 대기근만 해도 힘든데 추가된 위협은 이삭으로서는 더 참기 힘들었을 것이다.
이 가운데 이삭은 "부정적인 반응과 긍정적인 반응"을 모두 보인다.
- 아내를 누이로 속이는 부도덕한 실수. 이방 민족 가운데 생존하는 일이 녹록치 않았음을 생각해보면 이해를 못할 것 아니나 역시 속임수는 하나님의 방식이 아니므로 도덕적 흠결을 볼 수 있다.
- 우물로 인한 싸움 가운데는 소심하고 소극적인 대응을 보이기도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가운데 함께 하시고 도우시는 하나님은 변함 없으셨다. 하나님의 은혜가 그의 삶에 임했다.
이삭의 긍정적인 반응은,
- 첫째, 억지스러운 이방 민족의 다툼과 공격에 울분이 쌓였을지도 모를 이삭. 그런데 이삭은 그들과 같이 행하지 않았다. 악을 악으로 갚지 않고 하나님의 손에 맡겼다. -> 하나님을 품고 동행하는 사람들의 하나의 특성이다. 모든 것을 공정하게 심판하실 하나님께 맡기는 태도이다. 이러한 특성을 머금고 살아가자.
- 둘째, 24절 이삭의 삶에 찾아오셔서 도우시고 복주시는 하나님을 붙잡다. 그랄에서 아무리 방해해도 믿을 수 없는 승리와 성공이 계속 이어진다. 세상은 결과적인 성공에 주목한다. 승패를 가른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절대적 변수이신 하나님을 신뢰하고 붙잡는가가 가장 중요하다. 하나님이 진짜다.
III. 결론
이삭의 긍정적, 부정적 요인을 떠나서 하나님의 존재가 진짜 중요했다. 기근 가운데 하나님의 소명을 붙잡고 하나님께 순종하며 도우심을 구하며 붙잡을 때 이삭은 자신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문제를 극복하는 놀라운 승리를 경험한다. 기근중에 말씀하시고 일하시는 하나님을 경험 한 것이다.
우리의 현재 상황을 돌아보라. 코로나뿐 아니라 우리 계획이 모두 무너지고 일상의 리듬이 깨지는 상황이라 할지라도, 진리 되신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고 하나님의 손과 하나님이 주신 삶의 방식과 소명을 붙잡아야 한다. 살아서 말씀하시는 하나님을 기억하고 우리는 하나님이 필요한 존재임을 기억하라.